티스토리 뷰
목차
농작물 재배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 중 하나는 바로 해충 🐛입니다.
작물에 따라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피해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살충제 선택과 올바른 살포 시기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식물별 살충제 살포 시기와 적용 작물 🌱을 정리하여, 초보 농부부터 전문 재배 농가까지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 살충제 살포의 기본 원칙
살충제는 무조건 예방 차원에서 살포하는 것이 아니라, 해충 발생 밀도와 작물 생육 단계를 고려해 사용해야 효과가 높습니다.
특히 작물별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주기와 시기를 알면, 불필요한 약제 사용을 줄이고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방제를 할 수 있습니다.
✔ 해충 발생 초기에 조기 방제
✔ 작물 생육 단계별 맞춤 살포
✔ 내성 방지를 위한 약제 교호 사용 🔄
✔ 안전 사용기준 준수 ⏳
✔ 친환경 자재와 화학 약제 병행 ♻️
🥬 엽채류 작물(배추·상추·시금치 등) 살충제 살포 시기
엽채류는 연중 해충의 피해가 많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배추·상추·시금치 등은 주로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발생합니다.
묘상기에는 진딧물, 정식 후에는 나방류 해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단계별 약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작물 | 주요 해충 | 살포 시기 | 적용 약제 |
---|---|---|---|
배추 🥬 |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 묘상기~결구 전 | BT제제, 이미다클로프리드 |
상추 🥗 | 진딧물, 총채벌레 | 정식 후 초기 발생 시 | 스피노사드, 피리미카브 |
시금치 🌿 | 진딧물, 파밤나방 | 묘상기, 본엽기 | 유기인계,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 과채류 작물(고추·토마토·오이·수박) 살충제 살포 시기
고추, 토마토, 오이, 수박 등 과채류는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응애가 대표적인 해충입니다.
특히 개화기와 착과기 🌸에 발생하는 해충 피해가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기 관리가 핵심입니다.
작물 | 주요 해충 | 살포 시기 | 적용 약제 |
---|---|---|---|
고추 🌶️ | 담배나방, 총채벌레 | 개화기 전후, 과실 비대기 | 아바멕틴, 이미다클로프리드 |
토마토 🍅 | 총채벌레, 응애 | 정식 후 초기, 착과기 | 스피노사드, 티아메톡삼 |
오이 🥒 | 진딧물, 응애 | 초기 생육기, 개화기 | 님오일, 피리플루퀸조론 |
수박 🍉 | 총채벌레, 담배가루이 | 착과기, 과실 비대기 | 플루벤디아마이드, 스피로테트라마트 |
🌾 곡류·두류(벼·콩·옥수수) 살충제 살포 시기
곡류와 두류 작물은 우리 식탁의 주식이므로 해충 방제가 매우 중요합니다.
벼의 경우 멸구류, 콩은 진딧물과 노린재, 옥수수는 조명나방과 멸구 피해가 대표적입니다.
작물 | 주요 해충 | 살포 시기 | 적용 약제 |
---|---|---|---|
벼 🌾 | 멸구류, 혹명나방 | 이앙 후 30~40일, 출수 전 |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
콩 🌱 | 진딧물, 노린재 | 개화기, 착협기 | 이미다클로프리드, 아바멕틴 |
옥수수 🌽 | 조명나방, 멸구 | 출사기, 수염 전개기 | BT제제, 스피노사드 |
🍎 과수류(사과·배·포도·감귤) 살충제 살포 시기
과수류는 경제적 가치가 높아 해충 피해 시 손실이 크기 때문에, 정기적이고 계획적인 방제가 필수적입니다.
새순이 돋아나는 시기와 개화기, 과실 비대기에 해충이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작물 | 주요 해충 | 살포 시기 | 적용 약제 |
---|---|---|---|
사과 🍎 | 잎말이나방, 진딧물 | 개화 후, 과실 초기 | 인독사카브, 디노테퓨란 |
배 🍐 | 복숭아혹진딧물, 심식나방 | 새순 전개기, 과실 비대기 | 피리미카브,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포도 🍇 | 노린재, 응애 | 개화기 전후, 과실 비대기 | 아바멕틴, 스피로메시펜 |
감귤 🍊 | 깍지벌레, 총채벌레 | 개화 전후, 과실 착과기 | 님오일, 티아클로프리드 |
✅ 결론: 작물별 맞춤 살충제 관리의 중요성
살충제는 ‘많이 쓰는 것’보다 ‘언제, 어떻게 쓰는가’가 중요합니다.
작물별 해충 발생 시기와 약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살포하면 수확량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자재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내성 문제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구분 | 핵심 요약 |
---|---|
엽채류 🥬 | 묘상기·결구 전 집중 방제 |
과채류 🍅 | 개화기·착과기 해충 관리 |
곡류·두류 🌾 | 이앙 후·출수기 전후 방제 |
과수류 🍎 | 새순기·개화기·과실기 해충 집중 발생 |
👉 추가 정보는 농촌진흥청 및 각 작물별 방제 지침에서 최신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농촌진흥청
'식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살충제 – BT제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스피노사드 효과와 차이점 (0) | 2025.08.28 |
---|---|
갈반병 잘 생기는 식물- 원인·예방, 대처법 (0) | 2025.08.27 |
식물의 살균제와 살충제 차이- 병해충 관리 (0) | 2025.08.24 |
사양토 종류별 특징과 추천 식물 조합, 흙 선택·관리법 (0) | 2025.08.23 |
부엽토 종류와 효능, 유기물·미생물이 식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