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현대 농업에서 해충 방제는 식물 생장 관리의 핵심입니다. 특히 플루벤디아마이드(Flubendiamide)와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는 안정성과 효과 면에서 주목받는 대표 살충제입니다.
두 약제 모두 작용기전이 달라, 병해충 특성에 따라 병용 또는 교호 살포 전략에 유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약제의 작용원리, 주요 해충 대상, 약제의 안전성, 혼용 시 주의점까지 전문적으로 정리했습니다.
2025년 농약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플루벤디아마이드의 작용기전
플루벤디아마이드(Flubendiamide)는 디아마이드계 살충제로, 곤충의 근육세포 내 Ryanodine 수용체(RyR)에 작용하여 칼슘 이온 방출을 조절 불능 상태로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해충의 근육 수축이 지속되어 먹이 섭취 불능 → 마비 → 폐사로 이어집니다.
이 작용은 접촉·섭식형 모두에 해당하며, 특히 잎을 먹는 나방류(담배나방, 배추좀나방, 오이굴나방 등)에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기존 유기인계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내성을 보이는 해충에도 효과가 유지되는 것이 장점입니다.
2. 스피로테트라마트의 작용원리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는 케토엔올계 살충제로, 곤충의 지질합성 효소(acetyl-CoA carboxylase)를 저해하여 에너지 생성과 생장에 필요한 지방합성을 막습니다.
즉, 해충의 탈피·생식 능력을 근본적으로 억제해 개체 수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이 약제의 가장 큰 특징은 쌍방향 전신이행성(Double systemic)입니다. 즉, 식물 내에서 위쪽(상행)·아래쪽(하행) 이동이 모두 가능하여 잎·줄기·뿌리·새순까지 고르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주로 진딧물·가루이·총채벌레·깍지벌레 등 흡즙성 해충에 탁월합니다.
3. 적용 작물과 주요 해충
두 살충제 모두 다양한 작물에 사용되지만, 적용 작물과 주요 해충의 범위가 다르므로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구분 | 주요 적용 작물 | 방제 대상 해충 | 살포 방법 |
|---|---|---|---|
| 플루벤디아마이드 | 배추, 고추, 오이, 토마토, 사과, 감귤 | 배추좀나방, 담배나방, 파밤나방, 복숭아순나방 | 엽면살포 (보통 1000배 희석) |
| 스피로테트라마트 | 고추, 토마토, 감귤, 포도, 배, 장미 | 진딧물, 깍지벌레, 가루이, 총채벌레 | 엽면살포 또는 관주 (이행성 활용) |
이 두 약제는 작용기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교호 살포 또는 혼용 관리를 통해 내성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4. 혼용 및 약해 주의사항
플루벤디아마이드와 스피로테트라마트 모두 pH 6~7의 중성 조건에서 안정합니다.
다만, 알칼리성 자재(보르도액, 석회유황합제 등)나 강산성 약제와 혼용하면 유효성분이 분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피로테트라마트는 이행성 약제이므로 살포 후 24시간 이내 비가 내리면 약효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 예보 시기에는 살포를 피하고, 흡즙성 해충이 많은 잎 뒷면까지 충분히 분사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 플루벤디아마이드 + 유황계 살균제 (침전·약해 가능)
• 스피로테트라마트 + 석회유황합제 (약해 및 이행성 저하)
• 두 약제 모두 생육 초기 어린 잎에는 농도 조절 필요
5. 친환경 살충제로서의 안전성 평가
플루벤디아마이드와 스피로테트라마트는 모두 “인축 저독성, 작물 안전성 높음”으로 평가되는 신세대 살충제입니다.
특히 잔류기간이 짧아 수확기 근접 사용이 가능하며, 정상 희석 시 꿀벌이나 천적 곤충에 대한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다만, 수생 생물(특히 어류, 갑각류)에 대한 독성이 있으므로 수로 주변 살포 금지는 필수입니다.
또한, 플루벤디아마이드의 장기 반복 사용은 특정 나방류의 내성 유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호살포를 권장합니다.
• 저독성 농약 등급 (WHO 분류 Class III 또는 IV)
• 인체 독성 낮고, 작물 약해 거의 없음
• 해충의 생리적 내성 방지 위해 2~3회 이상 연속 사용 금지
결론|플루벤디아마이드 vs 스피로테트라마트 비교 요약
| 구분 | 플루벤디아마이드 | 스피로테트라마트 |
|---|---|---|
| 계통 | 디아마이드계 | 케토엔올계 |
| 작용기전 | Ryanodine 수용체 조절 (근육 마비) | 지방합성 효소 억제 (생식·성장 저해) |
| 주요 해충 | 나방류, 유충형 해충 | 진딧물, 깍지벌레, 총채벌레 |
| 이행성 | 비이행성 (엽면 중심) | 쌍방향 전신이행성 |
| 혼용 주의 | 유황계 약제와 혼용 금지 | 석회유황합제, 강산성 자재 혼용 금지 |
| 농업 안전성 | 저독성, 잔류 적음 | 저독성, 작물 안전성 우수 |
두 약제는 작용기전이 달라 상호보완적입니다.
플루벤디아마이드는 나방류 유충에, 스피로테트라마트는 흡즙성 해충에 각각 특화되어 있어 교호살포 또는 병행관리 시 탁월한 종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식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식물 살충제와 살균제 혼용 시 주의사항 5가지 (0) | 2025.11.06 |
|---|---|
| 플루벤디아마이드·스피로테트라마트 혼용 방제 캘린더|월별 병해충별 살포 시기 & 교호전략 (0) | 2025.11.05 |
| 유기농 텃밭에서도 안전한 친환경 살균제 TOP5와 사용법 정리 (0) | 2025.10.20 |
| 식물 살충제: 님오일, 피리플루퀸조론, 피리미카브 효과·차이점·주의사항 (0) | 2025.10.13 |
| 흙의 유기물과 미생물: 토양 생태계와 식물 건강의 관계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