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본 캘린더는 작물·기상·해충 발생밀도에 따라 조정이 필요합니다. 반드시 국내 등록(품목·작물·사용시기·희석배수·PHI) 라벨을 우선하세요.
1) 약제 개요 & 교호 살포 원칙
| 성분 | 계통/IRAC | 주요 대상 | 특징 | 교호 원칙 |
|---|---|---|---|---|
| 플루벤디아마이드 | 디아마이드계 / IRAC 28 | 나방류 유충(배추좀나방, 담배나방 등) | 섭식·접촉 효과, 잎 먹이중단→마비, 잔효 비교적 김 | 같은 28계(클로란트라닐리프롤 등)와 연속 사용 지양, 2~3회 연속살포 금지 |
| 스피로테트라마트 | 케토엔올계 / IRAC 23 | 흡즙성(진딧물, 가루이, 깍지벌레, 총채벌레) | 쌍방향 전신이행성(상·하행), 엽면·관주 모두 활용 | 동일 23계 연속 사용 지양, 7~14일 간격으로 다른 계통과 교호 |
✅ 혼용·교호 전략 핵심
• 해충 스펙트럼이 겹치지 않도록 목표를 나눠 설계(나방=28, 흡즙=23).
• 동일 계통 연속 2회 이상 금지, 기상·발생밀도 기준 7~14일 간격 조절.
• 물 pH 6.0~7.0 유지, 경수(경도↑)면 완충제 사용 고려.
• 석회유황합제·강알칼리성 자재와의 혼용 피함.
• 해충 스펙트럼이 겹치지 않도록 목표를 나눠 설계(나방=28, 흡즙=23).
• 동일 계통 연속 2회 이상 금지, 기상·발생밀도 기준 7~14일 간격 조절.
• 물 pH 6.0~7.0 유지, 경수(경도↑)면 완충제 사용 고려.
• 석회유황합제·강알칼리성 자재와의 혼용 피함.
2) 월별 방제 캘린더(노지/시설 공통 가이드)
주요 노지 채소(배추·고추·오이·토마토) 및 과수(감귤·포도) 기준. 시설재배는 온도 상승으로 발생 시기 앞당김을 고려하세요.
| 월 | 주요 발생 해충 | 권장 전략 | 권장 약제 | 비고 |
|---|---|---|---|---|
| 3월 | 월동 후 약충 시작(진딧물·가루이), 초기 나방 산란 | 초기 밀도 억제·유묘 보호 | 스피로테트라마트(23) 시작, 10~14일 후 타계통 전환 | 정식 전 주변잡초 제거, 끈끈이트랩 설치 |
| 4월 | 나방 1세대 유충, 진딧물 급증 | 세대교란 & 교호살포 개시 | 플루벤디아마이드(28) → 7~10일 후 스피로테트라마트(23) | 유충 초기에 28계 효과 극대화 |
| 5월 | 총채벌레, 담배나방, 배추좀나방 | 작물 생육기 균형 방제 | 23계(흡즙) ↔ 28계(나방) 교차 운용 | 꽃기 보호: 꿀벌 활동 시간대 살포 피함 |
| 6월 | 고온기 진딧물·가루이 폭증, 나방 2세대 | 밀도 상한선(경제적 피해수준) 도달 전 신속 처리 | 아침/해질녘 살포, 필요 시 관주형 23계 병행 | 고온·강광 시 약해 주의, 희석수 충분 |
| 7월 | 총채·가루이 상시, 나방 다세대 | 연속계통 금지, 주기적 순환 | 28 → (타계통) → 23 → (타계통) → 28… | 장마 전후 세척성 우수한 전착제 사용 |
| 8월 | 과실 피해성 나방, 흡즙성 지속 | 과실 착색·품질 보호 | 유충 피크에 28계, 새순·뒷면 집중 시 23계 | 수확 전 간격(PHI) 반드시 라벨준수 |
| 9월 | 가을세대 나방·진딧물 재증가 | 마무리 방제 & 내성 최소화 | 필요 시 저항성 다른 계통 보강 후 23/28 단발 사용 | 방제 종료 전 잔류 주의 |
| 10~11월 | 늦가을 잔존 개체 | 발생 초소량 시 물리·생물적 대체 | 트랩·천적 유지, 약제 사용 최소화 | 월동원 제거, 포장 정리 |
3) 작물별 추천 운용 시나리오
배추/결구채소
• 정식 7~10일 전 주변 잡초·잔재물 제거 → 초기 진딧물 출현 시 23계 1회.
• 유충 확인 즉시 28계 1회 → 7~10일 뒤 타계통(예: BT, IG 등) → 필요 시 23계.
• 결구기엔 잔류·PHI 엄수.
• 정식 7~10일 전 주변 잡초·잔재물 제거 → 초기 진딧물 출현 시 23계 1회.
• 유충 확인 즉시 28계 1회 → 7~10일 뒤 타계통(예: BT, IG 등) → 필요 시 23계.
• 결구기엔 잔류·PHI 엄수.
고추/토마토(시설 포함)
• 총채·가루이 상시 감시(청색/노란 트랩).
• 개화기 전후 23계 저농도 균일살포 → 나방 발생기 28계 단기 투입.
• 스크린망·밀도관리로 재유입 차단.
• 총채·가루이 상시 감시(청색/노란 트랩).
• 개화기 전후 23계 저농도 균일살포 → 나방 발생기 28계 단기 투입.
• 스크린망·밀도관리로 재유입 차단.
오이·박과
• 새순 집중 흡즙 피해에 23계 유리(상·하행 이행성).
• 잎 가장자리·뒷면 충분 분무, 비 예보 시 살포 연기.
• 새순 집중 흡즙 피해에 23계 유리(상·하행 이행성).
• 잎 가장자리·뒷면 충분 분무, 비 예보 시 살포 연기.
과수(감귤·포도 등)
• 깍지·가루이→ 23계(관주·엽면) 병행, 약충기 집중.
• 잎말이나방·유충 피해기 → 28계 단기.
• 수확기 근접 시 PHI·잔류 기준 반드시 재확인.
• 깍지·가루이→ 23계(관주·엽면) 병행, 약충기 집중.
• 잎말이나방·유충 피해기 → 28계 단기.
• 수확기 근접 시 PHI·잔류 기준 반드시 재확인.
4) 살포 전·중·후 체크리스트
| 단계 | 체크 항목 | 포인트 |
|---|---|---|
| 전 | 라벨 확인(적용작물·해충·희석·PHI), pH 측정, 노즐교체 | pH 6.0~7.0, 균일분무(미세노즐), 보호구 착용 |
| 중 | 풍속 3m/s 이하, 이슬 마른 오전/해질녘, 잎 뒷면 집중 | 비 예보·고온기 피하기, 혼용 시 소량 시험 후 전면 살포 |
| 후 | 장비 세척, 용기 회수, 방제기록(해충·일자·약제계통) | 내성관리 위해 계통 로테이션표 유지 |
5) 안전·혼용·환경 수칙(요약)
- 혼용 주의 : 석회유황합제·강알칼리성 자재와 혼용 금지. 유황계·보르도액과는 간격 두고 사용.
- 수계 보호 : 양어장·하천 인접 포장은 비산 방지, 잔액·세척수 유출 금지.
- 유용곤충 보호 : 개화기 꿀벌 활동 시간대 살포 피하고, 저독성 전착제 사용.
- PHI 준수 : 수확 전 간격은 제품 라벨을 반드시 따름(작물·제품마다 상이).
- 저항성 관리 : 동일 IRAC 계통 2회 연속 금지, 생물·물리 방제(IPM) 병행.
📌 라벨 우선 원칙
본 캘린더는 현장 응용을 위한 일반 가이드입니다. 실제 사용 시에는 국내 등록 품목 라벨(적용 작물/해충, 사용시기, 희석배수, PHI, 주의사항)을 항상 최우선으로 따르세요.
본 캘린더는 현장 응용을 위한 일반 가이드입니다. 실제 사용 시에는 국내 등록 품목 라벨(적용 작물/해충, 사용시기, 희석배수, PHI, 주의사항)을 항상 최우선으로 따르세요.
반응형
'식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식물 살충제와 살균제 혼용 시 주의사항 5가지 (0) | 2025.11.06 |
|---|---|
| 식물 살충제- 플루벤디아마이드·스피로테트라마트 (0) | 2025.11.05 |
| 유기농 텃밭에서도 안전한 친환경 살균제 TOP5와 사용법 정리 (0) | 2025.10.20 |
| 식물 살충제: 님오일, 피리플루퀸조론, 피리미카브 효과·차이점·주의사항 (0) | 2025.10.13 |
| 흙의 유기물과 미생물: 토양 생태계와 식물 건강의 관계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