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텃밭에서 정성껏 키우던 고추나 토마토 잎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생기고 점점 커진다면 ‘세균성 점무늬병’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이 병은 잎과 열매 모두를 병들게 하며, 방치하면 수확량 감소는 물론 작물 자체를 고사시킬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세균성 점무늬병의 증상, 원인, 전염 경로, 예방·대응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세균성 점무늬병 증상: 잎부터 시작해 열매까지 침범
세균성 점무늬병은 Xanthomonas campestris균 등에 의해 발생하며, 고추, 토마토, 배추, 상추 등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잎에 불규칙한 크기의 작은 갈색 또는 흑색 점무늬 발생
- 반점 주변이 노랗게 변하고 점차 퍼지며 잎이 말라감
- 줄기와 열매에도 병반이 생기며 갈색 부패 증상
- 심하면 낙엽, 낙과, 성장 정지
특히 고추에서는 잎이 위축되며 열매가 부패하고, 토마토는 과실 표면에 오목하게 패이는 반점이 생깁니다.
세균성 점무늬병의 발생 원인
세균성 점무늬병은 높은 습도와 온도(20~30℃), 잦은 비나 물 튐이 원인이 되며, 특히 비닐하우스나 밀식 재배 환경에서 빠르게 확산됩니다.
원인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균 보유 종자 또는 이식 묘
- 잎과 잎 사이의 물 튐, 장시간 젖은 상태
- 감염된 도구로 여러 식물 접촉
- 고온다습한 환경에서의 통풍 부족
세균은 주로 식물의 기공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며, 특히 비 온 뒤나 물 준 직후 전염력이 급상승합니다.
세균성 점무늬병의 전염 경로
세균은 접촉과 수분을 통해 퍼집니다.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기공, 벌레 상처, 잎 가장자리를 통해 침입하고 다음과 같은 경로로 전염됩니다.
- 감염 식물 → 물방울 튐 → 건강한 식물
- 오염된 장갑, 가위 등 농기구 접촉
- 감염 종자 → 전작물에서 다음 작물로 연속 감염
- 해충 활동 중 접촉 전파 (예: 진딧물, 총채벌레 등)
특히 잎이 물에 젖은 채 방치되는 것이 병원균 활동을 활성화시키므로, “잎을 마르게 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세균성 병해 전용 방제 방법
세균성 점무늬병은 곰팡이와 달리 일반 살균제로는 효과가 적으며, 세균 전용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친환경 농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세균 전용 유기농 제품이 있습니다.
제품명 | 유효 성분 | 사용법 | 특징 |
---|---|---|---|
세균킬러 | 항균 박테리아 유래 물질 | 3~5일 간격으로 분무 | 세균성 전용, 잔류물 없음 |
구리노랑 | 천연 구리 복합제 | 7일 간격, 식물 전체 엽면 분사 | 광범위 세균억제 |
내추럴가드 | 식물추출 항균물질 | 병 발생 전 예방용 | 유기농 인증 |
세균성 점무늬병 예방을 위한 재배 관리 요령
세균성 병해는 한번 퍼지면 통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실천 가능한 재배 관리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잎에 물이 튀지 않게 뿌리 쪽만 관수
- 감염 잎은 바로 제거하고 폐기
- 해충 방제 동시 진행 (진딧물 등)
- 사용 도구는 작물별로 분리 사용 또는 매번 소독
- 통풍 확보 및 저항성 품종 선택
또한, 같은 장소에 고추·토마토 등 감염 이력이 있는 작물을 2년 이상 연속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세균은 빠르지만, 예방은 더 빠를 수 있다
세균성 점무늬병은 감염되면 걷잡을 수 없이 퍼지는 무서운 병이지만, 환경과 위생 관리만으로도 상당 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특히 감염 초기에 빠르게 발견해 제거하고, 세균 전용 약제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면 건강한 작물 재배가 가능합니다.
핵심 항목 | 내용 요약 |
---|---|
병해명 | 세균성 점무늬병 (Xanthomonas) |
주요 증상 | 잎의 갈색 반점, 열매의 부패 병반 |
전염 경로 | 물방울 튐, 도구 접촉, 감염 종자 |
예방 방법 | 물 관리, 위생 관리, 전용 약제 |
'식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병 증상과 예방, 비 온 뒤 빨리 번지는 곰팡이성 병해 대처법 (0) | 2025.08.07 |
---|---|
탄저병 증상과 확산 원인, 열매까지 지키는 방제법 (0) | 2025.08.06 |
식물의 바이러스성 병해 – 증상, 주요 작물, 예방 (0) | 2025.08.05 |
흰가루병·노균병·뿌리썩음병 원인과 실전 방제법 (0) | 2025.08.04 |
탄저병·역병·세균성 점무늬병 원인과 효과적인 식물관리 (0)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