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썩음병 (근부, 뿌리썩음병) – 뿌리부위가 무르고 검게 썩는 질병 사진

    정성 들여 키운 식물이 어느 날 갑자기 시들고 뿌리까지 검게 물러진 채 고사했다면, '근부썩음병' 또는 '뿌리썩음병'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병은 다양한 작물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토양성 병해로, 특히 습도와 배수가 적절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확산됩니다.

    본 글에서는 썩음병의 원인, 증상, 방제와 예방 관리법까지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썩음병의 대표 증상: 뿌리의 갈변과 물러짐


    썩음병은 이름 그대로 뿌리나 줄기 기부(근부)가 물러지고 검게 썩는 병으로, 곰팡이균(Pythium, Rhizoctonia, Fusarium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

    • 뿌리와 줄기 기부가 갈변하며 물러짐
    • 잎은 시들거나 마르며 노랗게 변함
    • 전체 식물이 쓰러지며 성장 멈춤
    • 심하면 며칠 내 고사

    흙 위에서 보기에는 괜찮아 보일 수 있으나, 뿌리 부위가 물러졌는지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썩음병의 발생 원인과 조건


    썩음병은 주로 **배수 불량**, **과습**, **고온다습한 환경**, **연작** 등이 원인이 됩니다.

    대표적인 병원균은 Pythium, Rhizoctonia, Fusarium 등으로, 모두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곰팡이입니다.

    발생 조건:

    • 장마철, 실내 화분 과습 환경
    • 배수구가 막혀 물 고인 화분
    • 햇빛 부족 + 통풍 안 됨
    • 연속 재배로 병원균 누적된 토양

    특히 모종 시기나 어릴 때 감염되면 성장하지 못하고 시들며 바로 죽을 수 있습니다.

     

    감염 식물 대처법과 뿌리 관리 요령


    썩음병은 뿌리가 썩은 상태에서는 회복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초기 제거**와 **건강한 토양 관리**가 핵심입니다.

    1. 감염 식물은 뿌리째 뽑아 폐기 (퇴비 사용 금지)
    2. 감염된 화분 흙은 전량 교체 또는 태양열 소독
    3. 도구, 화분은 살균제나 락스 희석으로 소독
    4. 남은 작물은 병해 예방제 분사

    뿌리 썩음 증상이 있는 식물은 뽑아보면 **뿌리가 갈색, 물렁, 탄력 없음** 상태로 변화되어 있으며, 부패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썩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 자재


    화학농약보다 토양 살균에 효과적인 미생물 기반 유기농 제품이 많습니다. 특히 **Pythium, Fusarium** 등에 효과적인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품명 주요 성분 사용법 비고
    바이오루트가드 길항성 미생물(Bacillus) 토양 관주 (주 1회) 곰팡이 억제 효과
    내추럴방제액 식물 유래 항균물질 뿌리부위에 직접 분무 환경 부담 적음
    에코클린 구리+미생물 복합 7일 간격 토양 처리 균총 억제 및 예방

     

    썩음병 예방을 위한 토양 및 환경관리법


    썩음병은 뿌리 부위에서 시작되는 만큼, '토양의 환경'이 곧 예방입니다:

    • 배수가 잘되는 흙 구성 (펄라이트+마사토 혼합)
    • 물 빠짐 좋은 화분, 받침 물 자주 비우기
    • 한 종류 작물 연작 피하기 (윤작)
    • 실내 화분의 경우 환기팬 설치
    • 뿌리부위 건조 후 물 주는 간격 유지

    물 주는 횟수보다, 흙이 마른 상태인지 관찰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결론: 썩음병은 뿌리의 환경이 좌우합니다

     

    썩음병은 겉으로 보이지 않는 뿌리부터 시작되기에, 식물의 위쪽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배수 잘되는 토양 조성과 간격을 둔 물 주기, 병원균 억제용 유기농 자재 사용이 예방의 핵심입니다.

    식물의 뿌리를 돌보는 것이 결국 건강한 전체 생육으로 이어집니다.

     

    항목 핵심 요약
    병해명 근부썩음병, 뿌리썩음병
    병원균 Pythium, Rhizoctonia, Fusarium
    증상 뿌리 갈변, 물러짐, 고사
    예방법 배수 관리, 토양 살균, 관수 간격 조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