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식물 백색가루병의 원인과 예방용 살균제 안내 사진

    백색가루병은 다양한 작물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진균성 병해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 표면에 흰가루 같은 균사가 번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병은 광합성 저해와 생육 저하를 초래하며, 심할 경우 수확량과 품질 모두에 큰 영향을 줍니다. 특히 오이, 장미, 호박 등 습한 조건이나 환기가 부족한 시설 재배지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초기 대응이 관건이며,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병 발생 시기와 작물에 맞는 등록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백색가루병의 주요 원인

     

    백색가루병은 Erysiphales 목의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병원균 포자는 공기 중으로 퍼지고 식물의 잎에 부착되어 감염이 시작됩니다.

    이 병은 낮은 온도보다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더 잘 발생합니다. 18~25도의 온도와 60~80%의 습도에서 포자 발아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환기가 부족한 환경이나 질소질 비료 과다 시 비정상적인 연약한 신초가 발생하며 감염 확률이 더욱 높아집니다.

    주요 원인 요약:

    • 과도한 밀식 및 통풍 불량
    • 과도한 질소 비료 시비
    • 비 또는 점적 관수 후 잎이 계속 젖은 상태 유지
    • 온실 재배 시 고온 다습한 환경

    2. 증상과 피해 작물

     

    백색가루병은 주로 잎, 줄기, 꽃, 과실 표면에 흰색 또는 회백색의 가루 모양 곰팡이 균사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곰팡이 균사는 식물의 영양분을 흡수하여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광합성 작용을 저해합니다. 심한 경우 낙엽이 발생하거나 과실의 품질이 떨어지고, 꽃의 개화도 저해됩니다.

    대표적인 피해 작물:

    • 채소류: 오이, 호박, 수박, 고추, 토마토 등
    • 과수류: 포도, 복숭아, 딸기 등
    • 화훼류: 장미, 국화, 베고니아 등

    3. 예방을 위한 재배 관리법

     

    살균제 사용 이전에 환경 개선과 재배 관리만으로도 백색가루병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 관리 요령:

    • 하우스 내 온·습도 조절: 20도 이하로 유지하고 환기 철저
    • 과도한 질소비료 지양하고 칼슘 및 마그네슘 중심 균형 시비
    • 작물의 밀식 방지 및 햇볕이 잘 들도록 수형 조절
    • 병 발생 전 예방 살균제 주기적 처리
    • 병든 잎이나 식물체 부분 조기 제거 및 폐기

    4. 효과적인 예방용 및 치료용 살균제

     

    백색가루병은 전신이동성 살균제접촉형 살균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 예방에는 접촉성 살균제가 효과적이며, 병이 진행되면 침투성 성분이 필요합니다.

    대표 성분 및 특징:

    • 플루오피콜리드: 침투성 우수, 병원균의 생장 억제에 효과적
    • 헥사코나졸: 증식 억제 및 치유력 탁월
    • 디페노코나졸: 예방과 치료 모두 가능

    5. 작물별 등록 성분 및 사용 예시

     

    아래는 농촌진흥청 농약정보시스템(PIS)에 등록된 백색가루병 방제용 살균제 중 일부입니다. 작물별로 등록 성분과 사용 시기를 확인하고, 반드시 희석 배수 및 살포 횟수를 준수해야 합니다.

     

    작물 등록 성분 사용 시기 희석 배수
    오이 플루오피콜리드 생육 초기 1,000배
    장미 디페노코나졸 병 발생 전 2,000배
    호박 헥사코나졸 병 초반 1,000배

     

    결론 및 참고 자료

     

    백색가루병은 초기에 잘 관리하면 큰 피해 없이 방제할 수 있는 병입니다. 환경 개선과 함께 등록된 살균제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병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사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