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플루오피콜리드 사용법 사진

     

    플루오피콜리드는 감자역병, 오이노균병 등 다양한 노균병에 강력한 효과를 보이는 신세대 살균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루오피콜리드의 작용기전부터 침투성, 실제 사용법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

    1. 플루오피콜리드란? 성분 개요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는 Bayer CropScience에서 개발한 신물질 살균제로, 주요 작물의 노균병과 역병 예방에 강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 물질은 주로 벤즈아마이드 유도체로 분류되며, 세포 내에서 병원균의 세포 골격 구조를 교란시켜 생장과 번식을 저해합니다. 일반적인 살균제와 달리, 플루오피콜리드는 병원균의 세포골격에 직접 작용하여 저항성 발현 가능성이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포도, 오이, 감자, 양파 등의 노균병 방제에 많이 사용되며, 비가 많이 오는 시기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효과가 유지됩니다.

     

    2. 작용기전: 세포 골격 교란을 통한 병해 억제

     

    플루오피콜리드의 핵심 작용기전은 병원균의 세포 내 마이크로튜뷸(microtubule)이나 세포골격을 타깃으로 하여 이들의 안정성을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이는 병원균이 세포 분열, 생장, 이동을 하는 데 필수적인 구조들을 무력화시키며, 결과적으로 병원균이 더 이상 작물에 침투하거나 병을 유발하지 못하게 합니다.

    - ✅ *비공통적 작용기전*: 기존 DMI계, QoI계 살균제와는 다른 경로 작용
    - ✅ *저항성 관리에 효과적*: 동일 작용기전 살균제가 적어 교차 저항 위험이 낮음
    - ✅ *발병 전 살포 시 예방효과 우수*

     

    3. 침투성 및 잔효력 특성

     

    플루오피콜리드는 강한 침투이행성과 높은 잔효력을 보이는 것이 장점입니다.

    - ✅ *잎 표면에 분무 시 빠르게 내부로 침투*
    - ✅ *상대적으로 두꺼운 엽피나 왁스층도 통과 가능*
    - ✅ *약 7~14일간 효과 지속*, 특히 노균병과 같이 한 번 감염되면 확산이 빠른 병에 효과적

    이러한 특성 덕분에 비 오는 날 이후 살포해도 효과를 유지하며, 확산 방지와 예방 모두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4. 사용법 및 혼용 가능 약제

     

    플루오피콜리드는 단용보다는 복합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인피닛® (플루오피콜리드 + 프로피네브)**: 감자역병, 오이노균병 방제
    - 💊 **루나트렌드®**: 다른 계열 살균제와 혼합하여 사용 가능

    ⛔ 하지만 동계군 약제(QoI, DMI 등)와의 혼용은 저항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사용 전 제품 라벨의 희석배수, 살포 시기, 작물별 적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5. 국내 등록 현황 및 작물별 적용 예시

     

    농촌진흥청 농약정보시스템(PIS)에 따르면, 플루오피콜리드는 감자, 오이, 호박, 멜론, 양파 등에 등록되어 있으며, 연 2~3회 사용 가능합니다.

     

    작물 병해 사용 시기 희석 배수
    감자 역병 병 발생 전~초기 1,000배
    오이/호박 노균병 생육기 초반 1,000배
    양파 노균병 초기 병반 발견 시 1,000배

     

    정해진 간격과 사용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병 발생 전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결론: 플루오피콜리드는 예방 중심 전략에 최적

     

    플루오피콜리드는 새로운 작용기전, 강한 침투력, 뛰어난 잔효력을 겸비한 살균제로서, 병해 예방과 저항성 관리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유망 성분입니다.

    특성 내용
    작용기전 세포 골격 교란을 통한 병원균 억제
    침투성 강한 침투력, 빠른 흡수, 장기 잔효력
    사용법 복합제 사용 권장, 병 발생 전 예방살포
    적용 작물 감자, 오이, 양파, 멜론, 호박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