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농작물 병해 방제, 어떤 살균제를 얼마나 자주 써야 할지 고민되시죠?
이 글에서는 단기형부터 장기형까지 약효 지속 시간에 따라 식물 살균제를 정리해 드립니다. 여기에 병해별 추천 약제, 작물별 지속시간 적용 전략, 성분별 작용원리까지 방제 전략을 안내합니다.
단기형 살균제 – 약효는 짧지만 즉시 효과
단기형 살균제는 약효 지속시간이 보통 2~5일 정도로 짧습니다.
하지만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병 발생 초기나 급성 전염 상황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성분:
- 황(Sulfur)
- 베노밀(Benomyl)
- 티람(Thiram)
- 클로르탈로닐(Chlorothalonil)
특징:
- 비나 강한 햇빛에 약해 잔효성은 약함
- 접촉형이 많아 병 발생 전에 살포 필요
- 3~5일 간격의 짧은 방제 주기로 관리
중기형 살균제 – 안정적인 방제 주기에 적합
중기형 약제는 약효가 6~10일 지속되며, 침투성과 접촉성을 함께 지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주 1회 방제 계획에 잘 맞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 성분:
- 메탈락실(Metalaxyl)
-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 만코제브(Mancozeb)
-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특징:
- 다양한 작물과 병해에 범용적
-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음
- 교차 살포로 저항성 관리 필요
장기형 살균제 – 장마철·연작지의 든든한 파수꾼
장기형은 11~21일 이상 지속되며, 주로 침투이행성 또는 전신이행성 약제가 많습니다.
특히 비가 자주 오는 계절이나 방제 작업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탁월한 선택입니다.
주요 성분:
-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 포스틸알루미늄(Fosetyl-Al)
특징:
- 고온다습기 대응에 강함
- 침투력과 이동성이 우수
- 반복 사용 시 저항성 우려, 교차 사용 필수
병해별 추천 살균제 정리
병해 종류 | 권장 살균제 성분 | 비고 |
---|---|---|
흰가루병 | 황, 디노캡, 플루티아닐 | 초기엔 황, 지속관리엔 플루티아닐 추천 |
역병 | 메탈락실, 플루오피콜리드 | 침투형 성분 위주, 뿌리 흡수 필요 |
탄저병 | 클로르탈로닐, 디페노코나졸 | 접촉+침투형 병용 방제 효과적 |
잿빛곰팡이병 | 사이프로디닐, 플루디옥소닐 | 고온다습기 또는 시설하우스에 추천 |
작물별 약효 지속시간 적용 사례
작물별로 병해 발생 양상, 재배 환경, 잎 구조 등이 달라 약효 지속 시간 선택 기준이 다릅니다.
- 토마토
· 시설재배 많고 고온다습에 민감 → 장기형 추천
· 예: 역병 시 플루오피콜리드 2주 간격
- 상추
· 재배 기간 짧고 연속 수확 많음 → 중기형 적합
· 예: 곰팡이병 예방에 만코제브 7일 간격
- 복숭아
· 개화기, 수확기 전 병해 집중 발생 → 단기형·중기형 병용
· 예: 탄저병 대비 디페노코나졸 + 클로르탈로닐 혼용
👉 작물별 생육 주기와 병해 발생 시점을 고려해 적절한 약효 지속형을 배치하면 효율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성분별 작용원리 요약
성분 | 작용원리 | 주요 효과 |
---|---|---|
황 | 호흡억제, 포자형성 방해 | 접촉형, 유기농 적합 |
메탈락실 | RNA 합성 저해 | 침투형, 역병류 특화 |
플루오피콜리드 | 세포막 구조 파괴 | 전신이행성, 장기 지속 |
디페노코나졸 | 스테롤 생합성 억제 | 광범위 곰팡이 방제 |
※ 농약 성분의 **MOA (Mode of Action)** 기준으로 확인하며, 동일 MOA 약제 반복 사용 시 **내성 우려**가 있으므로 교차 방제가 필요합니다.
결론 – 약효 지속시간은 작물 건강의 타이밍입니다
식물병 방제에서 살균제의 약효 지속시간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일은 단순한 농약 사용을 넘어서는 **과학적 접근 전략**입니다.
기상 조건, 병해 발생 시기, 작물 특성을 반영해 단기형~장기형을 조화롭게 배치하고, 병해별·작물별 성분 선택과 작용기작까지 이해하면 **한층 더 정밀하고 지속가능한 농사**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는 살균제 사용도 '타이밍과 지속성'을 기준으로 점검해 보세요. 식물의 면역 리듬에 맞춰,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재배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식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습으로 식물 뿌리병 예방을 위한 토양 관리법 (0) | 2025.07.24 |
---|---|
식물 백색가루병의 원인과 예방용 살균제 안내 (0) | 2025.07.23 |
플루오피콜리드 병해 억제, 침투성, 사용법 (0) | 2025.07.22 |
식물에 맞는 농약 희석 비율 쉽게 계산하기 (0) | 2025.07.19 |
식물 키울때 살균제와 살충제 병용 시 유의할 점 (0) | 2025.07.18 |